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Easier said than done’, ‘Easy come, easy go’, ‘Lend money and lose your friend’, ‘Ignorance is bliss’, ‘When in Rome, do as Romans do’의 뜻을 알아보고 예문을 통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 보세요.
명언은 누군가 글로 썼거나 말로 했거나 기록이 남아 출처를 알 수 있지만, 속담은 어떻게 생겼는지 기원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속담은 나무위키에 따르면, ‘상징성, 관습성, 대중성, 일상성을 바탕으로 오랜 세월을 거쳐 정착된 표현으로 삶의 지혜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합니다.
언어는 효율성을 아주 중요하게 여깁니다. 우리나라 속담도 그러하지만, 특히 영어의 속담은 적은 단어 수로 함축적인 의미를 잘 표현하며, 의사소통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원래는 ‘백 마디 말보다 한 가지 행동’이라는 표현이 맞는 말이지만, 약간 고쳐서 백 마디 말로 할 것을 한마디 말로 상대방을 이해시키고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해 봅시다. 그렇다면 이보다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소통 방법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를 배울 때에도 속담을 알고 적절히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특정 문화나 언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표현을 관용표현 혹은 이디엄(idiom)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영어 속담 (Proverb)이자 관용표현 다섯 가지를 소개하고, 어떤 상황에 쓰이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말이 쉽지 실제 행동하기는 아주 어려운 상황을 일컫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요즘 체중이 불어 다이어트를 해야겠다고 친구에게 얘기를 했는데, 친구가 “적게 먹고 운동 열심히 하면 금방 빠질 거야”라고 말한다면, ‘Easier said than done’이라고 받아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누군가 말처럼 쉽지 않은 상황을 너무 당연하게 얘기한다면, 저렇게 영어로 말해 보시면 됩니다.
예문 1: Telling someone to exercise regularly is easier said than done; finding time and motivation can be challenging.
(누군가에게 정기적으로 운동하라고 말하는 것은 말하기 쉽지만 실제적으로는 시간이랑 동기를 찾는 것이 도전적일 수 있다.)
예문 2: Quitting smoking is easier said than done.
(담배를 끊는 것은 말하기는 쉽지만 실제로 하기는 어렵다.)
예문 3: He told me to stay calm during the presentation, but that’s easier said than done when you’re nervous.
(그는 발표 중에 차분히 하라고 했지만, 긴장할 때는 말하기는 쉽지만 실제로는 어려운 일이야.)
‘쉽게 들어오면 쉽게 나간다’는 표현으로 ‘Easy come, easy go’는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표현입니다.
‘쉽게 벌면, 쉽게 쓴다’ 혹은 ‘노력 없이 쉽게 번 돈은 쉽게 나간다.’와 같이 금전에 관한 얘기는 가끔 할 일이 생깁니다.
로또나 복권, 주식 등은 소액의 투자로 삶의 활력소 정도로 활용하는 것은 좋지만, 일확천금을 바라고 무리한 투자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He won the lottery and received a lot of money, but he spent it all within a year."
(그는 로또에 당첨되어 많은 돈을 받았지만, 1년 안에 모두 써버렸다.)
주변에 로또 1등에 당첨되어 아주 부자가 된 사람은 본 적이 없지만, 들리는 얘기로 이런 스토리는 아주 흔합니다. 노동과 투자에서 둘 다 성공해서 근로소득과 불로소득을 모두 얻을 수 있다면 아주 복 받은 인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만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운이 좋을 수 없습니다. 쉽게 번 돈도 물론 값지겠지만, 쉽게 번 만큼 쉽게 소비하는 습성이 있기 마련이라서 이럴 때 ‘Easy come, easy go’라고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예문 1: He won a lot of money at the casino last night, but he lost it all by the end of the evening. Easy come, easy go.
(그는 어젯밤 카지노에서 많은 돈을 벌었지만, 저녁이 끝날 무렵에는 전부 잃어버렸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간다.)
예문 2: She got a high-paying job quickly, but she didn’t save any of the money. Easy come, easy go.
(그녀는 빠르게 높은 연봉의 직장을 얻었지만, 돈을 하나도 저축하지 않았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간다.)
예문 3: The bonus he received from his company was spent within a week. Easy come, easy go.
(그가 회사에서 받은 보너스는 일주일도 안 되어 다 써버렸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간다.)
자신이 가진 모든 돈과 대출을 받아 주식에 투자해서 인생 망했다는 얘기는 가끔 듣는 소리입니다. 그에 비하면 소액으로 로또나 복권을 구입하는 케이스는 애교 수준일 것입니다.
주변에 이런 사람들이 있다면, 관계가 망가집니다.
투자는 여유돈으로 하는 것이지 그 선을 넘어서 투자한 돈을 복구를 하지 못하면, 누군가에게 손을 벌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 대상은 가족이나 친척, 친구입니다.
혈연관계는 돈을 빌려주고 못 받더라도 관계가 쉽게 끊어지지는 않지만, 친구는 좀 다릅니다.
친구나 지인으로부터 돈을 빌려달라는 얘기를 듣는 순간, “아, 나는 이 사람을 곧 잃는구나”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은 돈을 빌려줘도, 빌려주지 않아도 결과는 마찬가지입니다. 빌려준다면, 이 돈을 절대 못 받을 것이며 그냥 준다는 생각을 가지지 않으면 아주 힘들어집니다. 빌려주고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란 사실상 힘들며, 빌려간 돈을 친구가 추후 갚는다고 해도 그 기간만큼 둘의 사이는 아주 불편해지거나 그 사이 관계가 끊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Lend money and lose your friend’는 ‘돈을 빌려줘라 그러면 친구를 잃을 것이다’ 또는 ‘돈을 빌려주면 친구를 잃게 된다’는 뜻을 갖는 영어 표현입니다.
예문 1: Be careful when lending money to friends; you might end up lending money and losing your friend. (친구에게 돈을 빌려줄 때 조심해야 해; 돈을 빌려주고 친구를 잃게 될 수도 있어.)
예문 2: It’s often said that lending money can ruin friendships; the saying 'lend money and lose your friend' is a common piece of advice.
(돈을 빌려주는 것이 친구 관계를 망칠 수 있다고 자주 말한다; '돈을 빌려주고 친구를 잃다'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조언이다.)
예문 3: After I lent him a large sum of money, our relationship became strained, proving that 'lend money and lose your friend' can be true.
(그에게 큰돈을 빌려준 후 우리의 관계가 긴장되었고, '돈을 빌려주고 친구를 잃다'는 표현이 사실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
모르면 아무것도 아닌 일을 알게 되어 더 스트레스를 받고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정보가 많아질수록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모르는 것이 오히려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때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Bliss는 ‘행복’이나 ‘기쁨’을 뜻하는 단어로, “Ignorance (무지)가 Bliss(행복)이다”의 상황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떤 시험에 통과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시험 합격 소식을 듣고 처음에는 하늘을 날 듯이 너무 기뻤습니다. 하지만, 합격선이 60점인 시험에서 61점을 받아 겨우 턱걸이 수준으로 합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때마침 같은 시험에 합격한 자신과 수준이 비슷하다고 생각했던 친구는 90점을 맞았다는 것을 알았을 때, 어떤 기분이 들까요?
몰랐으면 아주 행복했을 텐데 알게 되어 기분이 저조해진 이런 상황을 우리는 ‘모르는 게 약이다’라고 합니다. 그리고, 영어로 ‘Ignorance is bliss’라고 합니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축하해 주고, 친구의 높은 점수로의 합격을 더 기뻐해주는 그런 관계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본인이 그러하다면, 대인배인 것을 자랑스러워하셔도 좋고, 그런 관계의 친구가 있어서 인생 성공하셨다 생각하시고, 위의 예시는 그냥 가뿐히 넘기시길 바랍니다.
예문 1: She chose not to learn the details of the financial crisis, feeling that ignorance is bliss.
(그녀는 재정 위기의 세부 사항을 알지 않기로 했고, 모르는 것이 행복하다고 느꼈다.)
예문 2: When it comes to certain unpleasant truths, I prefer to remain uninformed. After all, ignorance is bliss.
(불쾌한 진실에 대해선 모르고 지내는 것이 좋다. 결국 모르는 것이 약일 때가 있다.)
예문 3: Sometimes it's better not to know the full story, especially if it's likely to cause unnecessary worry. Ignorance is bliss.
(때때로 전체 이야기를 알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불필요한 걱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는 더욱 그렇다. 모르는 것이 행복할 때가 있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의미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너무 유명해서 잘 알고 있는 말입니다.
'When in Rome, do as Romans do' 이 말은 우리가 해외에 가서도 적용되고, 한국에 오는 이주민이나 관광객 모두에게 적용되는 말일 것입니다.
한 번은 방송에서 명동의 어느 길거리에서 담배를 피고, 꽁초를 바닥에 버리는 외국 사람들을 쫓아가 ‘왜 버리냐’고 질문을 한 기자가 있었는데, 한 외국인은 ‘한국 사람들이 하니까’라는 답변을 하였고, 다른 사람은 ‘여기는 한국이니까’라는 웃지 못할 소리를 하는 상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이게 싱가포르에서 벌어진 경우였으면 벌금으로 강하게 처벌을 할 수 있었겠다 싶었고, 우리나라는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은 엄밀히 말해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상황도 아닌데 정말 그렇게 한 외국인들에게 뭐라고 반박할 말이 없어 아주 씁쓸했습니다.
예문 1: If you're visiting a foreign country, it's best to follow local customs—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외국을 방문할 때는 현지의 관습을 따르는 것이 가장 좋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라야 한다.)
예문 2: At first, their way of doing things seemed strange, but 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so I adapted.
(처음에는 그들의 방식이 낯설게 느껴졌지만,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니까 적응했다.)
예문 3: I wasn’t sure whether to bow or shake hands, but 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so I bowed.
(고개를 숙여야 할지 악수를 해야 할지 몰랐지만,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고 해서 고개를 숙였다.)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영어 속담 및 관용 표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과 만났을 때 이런 영어문장 하나를 추가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열공하세요.
일상영어 –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 '쉬운'의 비슷한 뜻을 가진 관용표현 (17) | 2024.09.29 |
---|---|
가을에 일어나는 변화에 관한 영어 표현: 단풍/낙엽 (13) | 2024.09.22 |
Look forward to, be used to, be committed to, be opposed to + -ing (동명사) 뜻과 예문 활용 (8) | 2024.09.08 |
중독의 종류와 ‘중독되다’를 영어로 표현하면? (23) | 2024.09.01 |
일상영어- Put이 들어간 구동사 표현: put on, put off, put out, put up, put away 등 (38) | 2024.08.25 |
댓글 영역